본문 바로가기

제주트래킹/역사탐방

제주4.3의 현장을 찾아서(2) - 평화협상은 깨지고 초토화작전 강행

제주 4.3의 현장을 찾아서 


두번째 이야기 - 평화협상에서 초토화까지


첫번째 이야기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4.3 봉기까지의 역사적인 배경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해방의 기쁨도 잠시, 미군정이 시작되고 일제에 부역하던 기존 경찰과 관료는 재등용되고 서북청년회의 만행등으로 도민들의 분노는 극에 달하게 된다. 

3.1절 발포사건이 도화선이 되어 3.10 총파업이 발생하고 이를 진압하기 위한 무차별 연행과 고문으로 제주 사회는 분노 그자체, 결국은 이에 항거하고 남한만의 단독선거와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한다는 명분을 내세우고 남로당을 주축으로 하는 무장봉기가 발생하게 된다.


해방부터 4.3봉기까지 역사적배경 다시보기


두번째 이야기에서는 4.3 봉기가 일어난 후 제주도 경비대와 무장대와의 평화협정이 극적으로 타결되었으나 강경진압으로 돌아서게된 과정과 해안선 5km 이상 소개령 등 초토화 작전이 이루어지게 된 배경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평화협상 주도한 9연대장 김익렬 중령


▲ 1948년 5월5일 진압대책을 논하기 위해 제주에 모인 군경 최고 수뇌부  

- 왼쪽 두번째 미군정장관 딘장군, 맨우측은 김익렬연대장, 그 옆이 조병옥경무부장


ㅇ국방경비대 제9연대

제주도가 道로 승격되면서 향토연대인 조선국방경비대 제9연대가 1946년 11월 모슬포에서 창설되었다.

다음해 3월부터 제주도뿐만 아니라 경상도,전라도 청년들을 대상으로 모병하여 4.3 직전에는 인원이 800명에 달하였다.

초대 연대장에는 장창국 부위가 발령되고 1947년 9월 김익렬 부연대장(소령)이 부임하여 1948년 2월에 연대장(중령)으로 승진하였다.


ㅇ평화협정 체결 그러나..

국방경비대 제9연대장인 김익렬 중령은 군대는 외적의 침략을 막는 역할을 하는 곳이지 치안문제에 관여하는 기관이 아니라며 처음에는 사건에 개입하지 않았다.

그런데 딘 미군정장관은 4월17일 "항복을 유도하라"며 명령을 내려 4월28일 김익렬 중령과 무장대 총책인 김달삼과의 평화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된다.

4.28 평화협정 주요내용

① 72시간 이내 전투 중지 ② 약속위반시 즉각 전투 재개 ③ 무장해재 및 하산 후 신변보장


2. 오라리 방화사건으로 협상 결렬


ㅇ방화사건 전모

오라리에는 4.3봉기 이후 무장대와 경찰로부터 각각 죽임을 당하는 인명사건이 몇차례 발생했다.

사건 당일인 5월 1일 오전 9시에는 전날 무장대로부터 살해된 대청단원의 부인의 장례식에 경찰과 서청.대청단원 30여명이 참석하였다. 장례식에서 나온 후 경찰은 돌아가고 청년단원들은 남아 오라리 마을에 진입하여 좌파로 알려진 사람들의 집을 찾아다니며 5가구 12채의 민가를 불태웠다.

이들이 마을을 벗어날 즈음 무장대 20여명이 방화를 저지른 청년들을 추격하고 이 소식을 접한 경찰 트럭 2대가 출현했을때 무장대는 마을을 이미 떠나 있었다.

마을주민들은 불붙은 마을을 진화하고 있었는데 경찰들이 마을 어귀서부터 총을 쏘며 진격해오며 이 와중에 마을주민 고무생이란 여인이 총에 맞아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다.




ㅇ제주도 메이데이

오라리 방화사건 현장은 미군이 공중과 지상에서 입체 촬영한 소위 "제주도 메이데이"라는 기록 영화에 생생히 수록되어 있다.

하지만 우발적 사건이라면 미리 준비해 놓듯이 이렇게 생생하게 입체촬영이 가능했겠는가?라는 의문이 생긴다.

미묘하고 복잡한 사건이 뒤얽혀 일어난 오라리 연미마을 방화사건은 제주 4.3사건 전개 과정에서 미군정 당국이 강경진압 작전을 전개하는 계기로 작용했다는 점에서 큰 획을 긋는 사건이었다.


▲ 제주도 메이데이 영상 - 항공에서 촬영한 불타는 오라리 마을


3. 김익렬 중령의 해임과 5.10선거 보이콧


ㅇ김익렬 중령 전출

오라리 방화사건을 조사한 제9연대는 보수 청년단체의 소행이라는 조사결과를 보고하였으나 미군은 경찰의 보고와 다르다며 이를 묵살하고 강경진압 명령을 내린다.

5월5일 군경수뇌부 9명이 모인 진압대책 비밀회의에서 김익렬 중령과 조병옥 경무부장은 사태 원인 및 해결책을 놓고 대립을 하다 몸싸움까지 벌이게 된다.

이를 계기로 5월 6일 평화적 해결을 위해 노력하던 김익렬 중령을 전격 해임하고 9연대장 후임으로 박진경 중령을 임명한다.

조병옥 경무부장은 4.3을 계획된 공산폭동으로 규정하며 강경작전을 주장한 반면 김익렬 중령은 입산자들이 늘어난 것은 경찰의 실책때문이며 무장대와 주민을 분리시키고 무력위압과 선무공작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하다 조병옥과 몸싸움.


ㅇ제주도는 5.10선거를 거부한 유일한 지역

무장대는 선거를 무산시키기 위해 주민들을 산으로 올려보냈다.

선거 당일 마을에는 경찰가족이나 우익 청년단 간부, 선거관리위원 등 소수를 제외하고 사람의 모습을 찾아볼 수가 없었다.

주민들은 산이나 숲으로 가서 머물다 선거가 끝나서야 마을로 돌아왔다

1948년 5월10일 전국 200개 선거구에서 일제히 실시된 선거 결과 유일하게 제주도에서 3개 선거구 중 북제주 2개 선거구에서 과반수에 미치지 못했다.

미군정은 2개 선거구에 대해 재투표를 명했으나 사태가 진정되지 않아 재선거가 무기한 연기되고 제주도는 5.10 선거를 거부한 유일한 지역으로 역사에 남게 되었다.


▲ 투표를 거부해 산으로 피신한 주민들 


4. 초토화 작전과 소개령


ㅇ미군 토벌작전 진두 지휘

미군정은 제주도에서 5.10 선거가 무산되자 브라운 대령을 제주지구 미군사령관으로 파견해 모든 작전을 통솔토록 하였다.

브라운 대령은 "원인에는 흥미없다. 나의 사명은 진압뿐"이라며 강경 진압작전을 본격화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ㅇ박진경 연대장 피살

김익렬 중령의 후임으로 부임한 박진경 연대장은 강경작전을 벌여 6주간 4,000명을 체포하며 이에 대해 미군정은 성공적인 작전으로 평가하며 제주에 부임한지 한달 남짓한 박진경 연대장을 대령으로 특진시킨다.

그러나 1948년 6월 18일 진급축하연을 마치고 잠을 자던 중 박진경 연대장은 강경진압에 불만을 품은 부하들의 총에 맞아 피살된다.

이 암살 사건에 연루된 문상길 중위와 손선호 하사는 재판을 받고 사형에 처해진다.


ㅇ무차별 학살극 초토화작전 감행

9연대장으로 새로 부임한 송요찬은 1948년 10월17일 "정부의 최고 지령에 따라 해안선에서 5km이외의 사람은 이유여하를 불문하고 총살하겠다"는 포고령을 발표하고 11월17일 계엄령이 선포됨에 따라 작전이 본격화 되었다.


이승만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제주 4.3 사건등에 대해 "가혹하게 탄압하라" 명령했을뿐만 아니라 모슬포경찰서와 성산포경찰서를 신설하였고 서북청년회 단원들을 경찰과 군대에 편입시켰다.


▲ 이승만대통령의 계엄문서


이렇게 하여 1948년 11월 중순부터 1949년 3월까지 중산간마을에 토벌대가 들이닥쳐 집집마다 불을 지르고 남녀노소 가림없이 무차별 학살하는 "초토화작전"이 자행된다.


세번째 이야기부터는 초토화작전에 의해 대학살이 자행되었던 현장을 찾아 그날의 참상들을 조사하고 기록해보고자 한다.


강봥옵써 카카오스토리 소식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