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민속오일장은 날짜 끝자리가
2일과 7일 그러니까 5일마다
한달에 6번 장이 열린다.
오늘은 8월27일 장이 열리는 날....
얼마전부터 전통시장에 대한 포스팅을
한번해야겠다고 생각했던 터라...
마눌에게 오일장 가자고 건의(?)했다.
평상시 마트에도 같이 안가는 양반이
별일도 다 있다며 웃으며 같이 나섰다.
제주시오일장은 1905년 현재 관덕정
앞 광장에서 처음 개장되어 이후 여러
지역으로 이전되다 지금에 이르고 있다.
주차시설이 동시 1,400대까지 할수있고
회전율이 8,700대 정도 된다.
1일 평균이용객은 평일 5만명, 휴일엔
약 10만명이 이용하는 제주 최대 민속
장터이다.
선인장류, 화분등과 각종 유실수 등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보이는데 65세 이상 할머니들을 위해
무상으로 마련한 장터로 텃밭에서 재배한
나물들을 소일거리로 팔고 있습니다.
종류의 반찬들이 있고
청과류전에는 택배 발송도 가능합니다.
뻥튀기도 있었습니다.
생각보다 상당히 넓네요
아침을 안먹고 나와서 배가 고픕니다.
장터하면 국밥 아닙니까?
점심때가 안되서 한산하네요..
순대국밥 시켰습니다.
비쥬얼로는 그닥입니다.
합니다. 더 살게 있나봅니다.
그렇다고 차에 가만히 있을 내가 아니죠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도청, 시청에서
많은 노력한거 같습니다.
기다리다가 다시 안에 들어갔습니다.
5천원어치 샀습니다. 아들 줄려고... 5천원에 8개
오일장 구경 잘했습니다.
약간 아쉬운 점은 장답게 시끌벅적하고
엿장수 가락도 들리고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주민속오일장은 아침7시 개점해서
저녁7시 폐점합니다.
온누리상품권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상품권은 금융기관에서 사실수 있으며
5% 할인해서 사는 방법이 있나봅니다.
그리고 소득공제도 일반카드나 현금
영수증보다 훨씬 많이 되은거 알고 계시죠.
우리 전통시장 모두 살리게요...
전통시장 살리는거 공감하신다면
공감♡ 쿡
2일과 7일 그러니까 5일마다
한달에 6번 장이 열린다.
오늘은 8월27일 장이 열리는 날....
얼마전부터 전통시장에 대한 포스팅을
한번해야겠다고 생각했던 터라...
마눌에게 오일장 가자고 건의(?)했다.
평상시 마트에도 같이 안가는 양반이
별일도 다 있다며 웃으며 같이 나섰다.
제주시오일장은 1905년 현재 관덕정
앞 광장에서 처음 개장되어 이후 여러
지역으로 이전되다 지금에 이르고 있다.
주차시설이 동시 1,400대까지 할수있고
회전율이 8,700대 정도 된다.
1일 평균이용객은 평일 5만명, 휴일엔
약 10만명이 이용하는 제주 최대 민속
장터이다.
선인장류, 화분등과 각종 유실수 등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보이는데 65세 이상 할머니들을 위해
무상으로 마련한 장터로 텃밭에서 재배한
나물들을 소일거리로 팔고 있습니다.
종류의 반찬들이 있고
청과류전에는 택배 발송도 가능합니다.
뻥튀기도 있었습니다.
생각보다 상당히 넓네요
아침을 안먹고 나와서 배가 고픕니다.
장터하면 국밥 아닙니까?
점심때가 안되서 한산하네요..
순대국밥 시켰습니다.
비쥬얼로는 그닥입니다.
양념장 풀고나니 그런데로 봐줄만하네요
다른 맛집만큼은 아니어도 먹을만합니다
합니다. 더 살게 있나봅니다.
그렇다고 차에 가만히 있을 내가 아니죠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도청, 시청에서
많은 노력한거 같습니다.
기다리다가 다시 안에 들어갔습니다.
5천원어치 샀습니다. 아들 줄려고... 5천원에 8개
오일장 구경 잘했습니다.
약간 아쉬운 점은 장답게 시끌벅적하고
엿장수 가락도 들리고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주민속오일장은 아침7시 개점해서
저녁7시 폐점합니다.
온누리상품권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상품권은 금융기관에서 사실수 있으며
5% 할인해서 사는 방법이 있나봅니다.
그리고 소득공제도 일반카드나 현금
영수증보다 훨씬 많이 되은거 알고 계시죠.
우리 전통시장 모두 살리게요...
전통시장 살리는거 공감하신다면
공감♡ 쿡
'보고 즐기기 > 전통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귀포매일올레시장 - 이젠 관광시장이 되었다. (22) | 2017.03.05 |
---|---|
제주동문시장 먹거리 투어 - 공항 근처 반드시 들려야 할 곳 (16) | 2017.01.23 |
서귀포향토오일시장 - 가는돈 & 오는말 (16) | 2017.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