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를 알자/제주의 물이야기

제주의 물이야기(제2탄) - 야! 물이다~ 땅속에서 물이 솟구치다

용천수가 있는 저지대에는 마을 공동수도 등 간이수도 사업이 빠르게 진행되었으나 중산간 지역 등 고지대에는 마땅한 수원이 없었다.

따라서 지역주민들은 병원균이 득실거리는 비위생적인 봉천수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고 이처럼 중산간지역의 급수문제는 시급한 현안중의 하나였다.

제주의 물이야기 제2탄에서는 지하수개발 성공과정과 현재까지 개발현황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 지하수 개발

1. 심정굴착사업

1960년부터 중산간 마을의 물문제 해결 방안의 하나로 심정굴착사업이 계획되기 시작하여 수원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1961년 10월10일 애월읍 수산리에서 제주도 최초로 심정굴착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착공후 1개월이 지난 후 72m의 착정을 마치고 양수시험을 한 결과 395톤의 지하수가 양수되었다.

이후 1967년까지 1,300만원여를 투자하여 59개소에서 진행되었으나 이중 18개소만이 성공하여 30.5%의 성공율을 보였고 이마저도 굴착심도가 얕아  가뭄때는 물이 말라버리는 현상까지 발생함으로써 중산간 지역의 급수난은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였다. 이 당시 착정기는 타격식 착정기로 깊은 심도에 있는 지하수까지 도달하지 못하여 대부분의 지역에서 실패하고 그나마도 상위지하수가 흐르는 일부 지역에서 평시 사용이 가능하였다.

2. 농업진흥공사 설립

농림부에서는 1969년 1월에 "지하수개발공단"을 발족하였고 1970년 2월에 지하수개발공단과 토지개량조합연합회를 통합하여 "농업진흥공사"(지금의 한국농어촌공사)가 설립되었다. 공사에서는 1970년 7월부터 제주도 다목적지하수개발사업을 위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여 1/10만 제주도 지질도를 만들었는데 이 지질도는 국내 지질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제주도 최초의 지질도가 되었다.

농업진흥공사에서는 지하수 부존형태를 상위지하수와 기저지하수로 구분하여 경제적 실효성있는 개발 가능한 지하수는 표고 100m 이하에 부존하는 약 123억1,400만톤으로 추정하여 관정개발이 연차적 계획에 따라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3. 지하수 개발 성공

농업진흥공사는 1970년 한림읍 동명리와 명월리에 조사공 개념으로 착수하였고 명월리는 암반굴착 중 공이 휘어져 10m쯤 굴착하다 철수되었으며 동명리에서는 한림철공소에서 기계를 개조하고 2km 떨어진 지역의 봉천수를 끌어들여 순환수로 사용하며 저속 굴진하기를 반복 1일 2,000톤의 지하수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역사적인 지하수 1호공이 탄생하게 되었다.

(동명1호공-한림읍 동명리 2204-5번지)

이후 농업진흥공사는 1972년 27개소 등 1980년까지 143개소의 지하수 관정을 뚫어 1일 21만9천톤의 지하수를 상수도와 농업용수로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제주도 물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하였다.

4. 지하수와 농업의 발전

지하수의 개발은 중산간지역의 상수도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제주도 농업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1990년대 초까지는 가뭄대비 용으로 일부 개발되던 농업용 관정은 1994년도 밭기반정비사업이 시작되면서 농업용관정 개발이 급속도로 개발되기 시작하였고 이 시기부터 제주도 농업은 청정 지하수를 이용한 시설재배 등이 증가하며 농가소득도 향상되기 시작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관리 종합계획보고서에 의하면 2011년까지 지하수 개발은 공공관정과 사설관정을 포함하여 총 4,851공이 개발되었고 이 중 농업용 관정은 3,316공이 개발되었다.

지하수개발에서 급수까지

(시추작업)

(양수작업)

(시추코아-로터리공법)

(물탱크 설치)

(급수-스프링쿨러)

 

5. 먹는 샘물의 개발

ㅇ 제동흥산(주)의 제주 '먹는샘물' 판매 

 "먹는물 관리법"이 시행되기 이전 제주도 내에 먹는 샘물을 제조 판매하는 업체는 한진그룹 계열의 제동흥산(주) 한개 업체만 있었으며 주로 대한항공 기내용으로 공급해오다 1985년 중동의 바레인에 수출하기 시작하였다.

1989년 9월 제주도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이슈로 떠올랐으며 정부는 "먹는물관리법"을 제정하여 1995년 먹는샘물이라는 명칭으로 국내 시판이 허용되면서 사기업에 대한 무차별 개발을 규체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제주도는 먹는샘물의 제조.판매를 목적으로하는 지하수 이용허가를 지방공기업이 지하수 보전과 관리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하고자하는 경우에 한하여 허용할 수 있도록 1995년 1월5일 특별법에 반영함으로써 사기업에 의한 새로운 먹는샘물 개발을 완전 차단시켰다.

ㅇ 명품 "제주삼다수"의 탄생

제주개발공사의 먹는 샘물 "제주삼다수"의 개발은 민선 1기 제주도정의 대형 정책사업의 하나로 추진되었다. 1995년 3월8일 제주도지방개발공사 설립 등기를 마치고 조천읍 교래리 산70번지 일대 공장이 1998년 1월23일 준공식을 가졌고 오늘날의 명품 삼다수가 탄생하게 되었다.

(1995년 삼다수 착정)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발전연구원의 "제주상수도 50년"에서 발췌 및 일부 한국농어촌공사 자료 협조.

이상 제주도의 물이야기 중 제2탄 지하수개발에 대한 이야기를 마치고 3탄에서는 저수지 이야기가 계속 이어집니다. 

3탄도 보고 싶다면 공감 ♡  쿡 ↓

 

강봥옵써 카카오스토리 소식받기